지은이 – 레프 똘스또이
레프 니꼴라예비치 똘스또이는 1828년 모스끄바에서
남쪽으로 약 200km 거리에 있는 야스나야 뽈랴나에서 똘스또이 백작 가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2살과 9살 때 각각 모친과 부친을 여의고, 이후 큰 고모와 후견인의 보살핌 속에 자라났다. 16세가 되던 1844년에 까잔 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하였으나 사교계를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일삼다 곧 중퇴하였다. 23세가 되던 1851년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시작하였고 이때 처녀작
『유년시절』을 쓰기 시작하여 1853년에는 『소년시절』을, 1856년에는
『청년시절』을 썼다. 1856년에는 크림전쟁에 직접 참전했던 경험을 토대로 쓴 『세바스또뽈 이야기』를
발표하였다. 한편 1859년에 고향인 야스나야 뽈랴나에 농민
학교를 세우는 등 농촌 계몽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으며, 34세가 되던 1862년에 소피야 안드레예브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모두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후 『까자끄 인』(1863), 『전쟁과 평화』(1869), 『안나 까레니나』(1877) 등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대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사상의 전환을 맞이하여 『교의신학
연구』(1880), 『참회록』(1882)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순수예술에서 점차 벗어나 도덕적인 신념을 강조하고 자신만의 종교를 설파하였는데, 이로 인해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을 당했다. 노년에 접어들어서도
왕성한 집필 활동을 통해 『이반 일리이치의 죽음』(1886), 『크로이처 소나타』(1889), 『예술이란 무엇인가』(1897), 『부활』(1899) 등을 계속해서 발표했다. 사유재산을 부정하여 발생한 부인
소피야와의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똘스또이는 1910년 끝내 노구의 몸을 이끌고 가출하였다가 아스따뽀보
기차역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옮긴이 – 한현희
경희대학교 러시아어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국제회의 통번역사로 활동하며 정치, 외교, 경제, 금융, 통상, 과학기술, 스포츠,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역과 번역 경력을 쌓았다. 「러시아어
호칭어의 한국어 번역 전략에 관한 연구」(2015), 「2000년대
이후 한국 문학의 러시아어 번역 출판 현황에 관한 연구」(2018), 「한노 번역문에 나타난 학생들의
문장 부호 오류 유형 및 교육적 개선 방향」(2017) 등 러시아어 통번역 및 교육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역서로는 『어둠의 힘』(2017)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