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레프 톨스토이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는 1828년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약 200km 거리에 있는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톨스토이 백작 가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2살과 9살 때 각각 모친과 부친을 여의고, 이후 큰 고모와 후견인의 보살핌 속에 자라났다. 16세가 되던 1844년에 카잔 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하였으나 사교계를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일삼다 곧 중퇴하였다. 23세가 되던 1851년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시작하였고 이때 처녀작
『유년시절』을 쓰기 시작하여 1853년에는 『소년시절』을, 1856년에는
『청년시절』을 썼다. 1856년에는 크림전쟁에 직접 참전했던 경험을 토대로 쓴 『세바스토폴 이야기』를
발표하였다. 한편 1859년에 고향인 야스나야 폴랴나에 농민
학교를 세우는 등 농촌 계몽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으며, 34세가 되던 1862년에 소피야 안드레예브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모두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후 『카자크 인』(1863), 『전쟁과 평화』(1869), 『안나 카레니나』(1877) 등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대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사상의 전환을 맞이하여 『교리신학
연구』(1880), 『참회록』(1882)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순수예술에서 점차 벗어나 도덕적인 신념을 강조하고 자신만의 종교를 설파하였는데, 이로 인해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을 당했다. 노년에 접어들어서도
왕성한 집필 활동을 통해 『이반 일리이치의 죽음』(1886), 『크로이처 소나타』(1889), 『예술이란 무엇인가』(1897), 『부활』(1899) 등을 계속해서 발표했다. 사유재산을 부정하여 발생한 부인
소피야와의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톨스토이는 1910년 끝내 노구의 몸을 이끌고 가출하였다가 아스타포보
기차역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옮긴이 – 전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와 통번역대학원 한노과를 졸업한 후, 동대학교 일반 대학원에서
러시아 언어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러시아 모스끄바 국립대학교에서 러시아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한러전문통번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제회의 통역사와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EBS 교육방송 ‘라디오 러시아어 회화’의 집필과 진행을 맡았으며, 러시아어
교육 방법론 연구와 교재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어 의미론, 교육학, 통번역 관련 논문이 다수 있으며, 저서로는 10여 권 이상의 EBS
라디오 『러시아어 회화 교재』와 『노래로 배우는 러시아어』, 『꿩 먹고 알 먹는 러시아어
첫걸음』, 『초보자를 위한 한국어-러시아 단어장』, 『러시아어 편지 쓰기』, 『프레쉬 러시아어 문법』, 『영어 대조 러시아어 회화』, 『러시아어 회화 사전』, 『교양 러시아어 - 러시아와의 만남』, 『만만한 세계도전 러시아어 첫걸음』 등 다수가 있다. 역서로는 『영화로
배우는 러시아어』, 『소비에트 문학전집』, 『러시아 문화
세미나』, 『러시아 문학 단편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