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날 (День России) > 러시아 문화 소식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협력기관

 > 러시아 문화 소식

러시아의 날 (День России)

페이지 정보

뿌쉬낀하우스 작성일21-06-18 17:55 조회653회 댓글0건

본문

 

러시아의 날


▶ 1992년부터 매년 6 12일마다 기념하고 있는 «러시아의 » 러시아의 중요한 국가 공휴일이다.

 

▶ 1990 6 12일에 러시아 국가 자주권에 대한 선언이 있었으며, 러시아는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러시아 연방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 일년 , 1991 6 12 러시아 최초의 직접 대통령 선거에서 보리스 옐친이 당선되었다. 러시아 국민들에게 연설을 시작할 때마다 «Дорогие россияне!» (친애하는 러시아인들!)라고 말하는 옐친 대통령 덕분에 거의 잊혀졌던 «россиянин»(러시아인, 다민족 국가인 러시아에서 민족에 상관없이 국적을 나타내는 )이라는 단어를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

 

▶ 1992년부터 6 12일은 러시아 국가 자주권에 대한 선언을 기념하는 공휴일이 되었다.

 

▶1998 6 12일에는 옐친 대통령이 기념일에 «День России» (러시아의 )라는 이름을 제안했는데 2002년에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 러시아의 날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축제, 스포츠 경기와 콘서트가 진행된다.

 

▶ 러시아의 날을 기념하는 다른 행사는 매년 진행되는 시상식이다. 시상식에서는 1992년에 설립된 과학과 기술, 문학 예술, 인도주의 분야의 러시아 연방 국가 상을 수여한다.

 

▶ 2007년부터는 러시아인들에게 국기 색상의 리본을 나눠 주는 «Российский триколор» (러시아 삼색기)라는 국가 캠페인이 열리고 있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5976_07.jpg
 

러시아 민족


1 4500 이상의 인구를 가진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이다. 세기의 역사에 걸쳐 러시아의 민족 구성은 여러 바뀌었다. 오늘날에는 150가지의 언어를 사용하고 13개의 어족에 속하는 190 이상의 민족이 살고 있다. 민족마다 자기만의 역사와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민족은 인구가 많지 않고 제한된 지역에 살고 있다.

▶ 러시아 인구의 81% «русские» (러시아인) 차지한다. 러시아인들은 러시아 국가의 창조자이며 원주민이다. 러시아인 민족의 형성은 1000 중반에 시작되었으며 슬라브 사람들은 «Русь» (루시)라는 국가가 생기면서 이름으로 민족도 부르기 시작했다. 러시아인은 다른 유럽인, 특히 벨로루시인과 우크라이나인과 같은 동슬라브족과 역사적, 문화적으로 공통된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언어는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종교는 거의 대부분이 러시아 정교를 믿는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6105_79.jpg 

 

▶ 러시아에서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진 민족은 «татары» (타타르인)이다. 타타르인들은 튀르크족에 속한 러시아 소수 민족이다. 타타르인들은 볼가강 중부의 타타르스탄 공화국에 가장 많이 살고 있으며 시베리아와 극동 지역에 정착하기도 했다. 옛날에 일부 타타르 부족들은 킵차크 칸국에 포함되어 있었다. 킵차크 칸국이 해체된 이후에는 현재 러시아 영토에 타타르 칸국이 형성되었고 16세기에 루시에 합병되었다. 언어는 타타르어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대부분 타타르인들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6145_98.jpg

 

 러시아 소수 민족 중에 «чеченцы» (체첸인) 인구가 많은 편이다. 체첸 원주민들은 16-17세기에 북캅카스에서 일어난 복잡한 민족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다. 체첸인들은 환대와 엄격한 양육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 여자들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전통 민족 의상을 입고 생활하고, 체첸인들은 가족 전통을 엄격하게 지키고 따른다. 현재 체첸 공화국은 러시아에서 이혼을 가장 적게 하고 출산을 가장 많이 하는 지역이다. 언어는 체첸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대부분이 이슬람교를 믿는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6213_56.jpg
 

 

▶ 러시아의 핀우그리아 민족 대부분이 «мордва» (모르드바인)이다. 핀우그리아 민족은 현대 러시아의 서부, 북부와 중부 영토에서 예전부터 살았는데 14-15세기에 모르드바인이 러시아의 일부가 되었다. 모르드바인들은 언어, 문화, 삶의 방식이 다른 «эрзя»(에르자인) «мокша»(목샤인이)라는 개의 집단으로 나눠져 있다. 현재 모르드바인의 수는 80만명이다. 모르드바 공화국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대부분이 러시아 정교를 믿는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6277_79.jpg 

 

▶ 러시아에서는 몽골 민족에 속한 소수 민족들도 있다. 중에 «калмыки» (칼미크인)라는 민족이 있다. 칼미크인들은 불교를 믿고 유목민의 특성을 가진, 유럽에서 유일한 몽골어족 민족이다. 칼미크인들의 역사는 16-17세기에 시작되었다. 때는 오이라트라는 몽골 부족의 일부가 볼가강 하류의 , 현대 칼미크 공화국의 영토로 이동하였고, 후에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는 칼미크인 인구는 20만명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칼미크어를 쓰는 사람도 있지만 많지 않다. 대부분이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7d2937f335d098b335abdd7b09299c88_1624006326_34.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2건 1 페이지
<<
전체
러시아 문화 소식 목록
  • 러시아의 날 (День России)  
  • 뿌쉬낀하우스   2021-06-18 17:55:41   654회  인기글     
  •  러시아의 날▶ 1992년부터 매년 6월 12일마다 기념하고 있는 «러시아의 날»은 러시아의 중요한 국가 공휴일이다. ▶ 1990년 6월 12일에 러시아 국가 자주권에 대한 선언이 있었으며, 러시아는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러시아 …
  • 현대 모스크바 (Современная Москва)  
  • 뿌쉬낀하우스   2021-05-18 17:18:35   766회  인기글     
  • 1.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Храм Христа Спасителя) ▶ 러시아 정교회의 주요 성당인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은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에 대한 러시아의 승리를 기념하여 지어졌다. ▶ 1817년 10월 24일에 참…
  • 러시아의 부활절 (Пасха, Светлое Христово Воскресение)  
  • 뿌쉬낀하우스   2021-04-20 09:20:05   811회  인기글     
  •   부활절(Пасха, Светлое Христово Воскресение)은 세상과 인간의 쇄신과 구원, 죽음에 대한 생명의 승리, 악과 어둠에 대한 선과 빛의 승리를 상징하는 교회의 가장 존경받고 즐거운 날이다. 부활절은 예수의 속죄와 희생, 십자…
  • 문화재청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특별전 개막  
  • 뿌쉬낀하우스   2020-10-19 18:12:45   1145회  인기글     
  • 문화재청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특별전 개막등록 2020-10-19 09:50:00[서울=뉴시스]사바틴 초상화(사진=따찌아나 심비르체바 제공)2020.10.19 photo@newsis.com[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문화재청은 '1883 러…
  • 한러 수교 30주년 기념 특별전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개막  
  • 뿌쉬낀하우스   2020-10-19 18:07:05   1070회  인기글     
  •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9일 오전 서울 중구 덕수궁 중명전에서 열린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특별전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안드레이 쿨릭 주한 러시아 대사가 러시아공사관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바틴은 근대기 조선에 머무르며 건축물의 설…
  • [출판기념회]우크라이나 전쟁, 이렇게 봐야 한다  
  • 뿌쉬낀문화원   2023-02-20 10:37:37   189회  인기글     
  •  [출판기념회]우크라이나 전쟁, 이렇게 봐야 한다.  ​일   시: 2023년 3월 3일(금) 15:00 장   소: 사유의 서재 5F주최및주관:뿌쉬낀하우스  프로그램: 1부 - …
  • 12월 유니버설발레단 "호두까기인형"  
  • 뿌쉬낀하우스   2019-11-15 15:55:08   1857회  인기글     
  •  올해로 35주년을 맞은 유니버설발레단이 12월 21일(토)부터 31일(화)까지 유니버설아트센터에서 <호두까기인형>으로 관객과 함께 한 해를 마무리 한다. <호두까기인형>은 발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차이콥스키와 안무가 프티파-이바노…
  • 창원시립교향악단 제321회 정기연주회 러시아의 밤  
  • 뿌쉬낀하우스   2019-09-18 12:36:14   2042회  인기글     
  •    2019년 9월 26일 오후 7시 30분 성산아트홀 대극장에서 경남 창원시립교향악단의 제321회 정기연주회 '러시아의 밤'이 개최된다고 합니다. 지휘: 창원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김대진협연: 바이올리니스트 울프 발린…
  • 미로슬라브 꿀띠쉐프 초청 피아노 리사이틀  
  • 최고관리자   2019-02-22 20:08:20   2408회  인기글     
  •  수강생 여러분, 안녕하세요? 좋은 공연이 있어 소개해드리고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러시아 피아니스트 미로슬라브 꿀띠쉐프의 공연입니다.미로슬라브 꿀띠쉐프는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인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우승자로서러시아 피아니즘의 전통을 물려받은 세계 …
  • 발레리나를 그려내는 카메라의 섬세한 시선 사진전 '한여름 밤의 꿈, 발레'  
  • 뿌쉬낀하우스   2018-04-07 13:24:04   3163회  인기글     
  •     발레만을 찍는 러시아의 사진작가들이 있다. '아트밀리온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사진작가3인방은 발레 무용수의 표정과 몸짓만을 카메라에 담아낸다.  한국을 찾은 독특한 전시회, 발레 사진전이 인사동 장은선 갤러리에서 9월 7일…
  • 현대 러시아영화를 알린 페스티벌  
  • 뿌쉬낀하우스   2018-04-07 12:28:19   3296회  인기글     
  •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러시아영화 페스티벌이 열렸다. 주한러시아대사관이 주최하고 한러문화예술협회, 한국국제교류재단, CGV등이 후원한 이번 영화제는 서울 명동 CGV 시네라이브러리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러시아의 현대 영화 세 편을…
  • 한국에 내한한 게르기예프와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 뿌쉬낀하우스   2018-04-07 12:01:22   3071회  인기글     
  •   10월 31일 성남아트센터(대표 김은숙) 콘서트홀에서는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지휘하는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울려퍼졌다. 한국에서 성사된 단 하루의 귀한 공연에 연주홀은 입추의 여지 없이 클래식 애호가들로 가득 찼다. 러시아와 아시아 투어…
게시물 검색

Head Office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2가 18-2 B01

02-2237-9387

02-2238-9388

hskim@pushkincc.org

국세청 공익제보 로고 이미지 서울시 공익제보 로고 이미지
©2021 PUSHKINCC.ORG ALL RIGHTS RESERVED. 뿌쉬낀문화원 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뿌쉬낀하우스